우울증, 불안장애로 고생하는 사람은 이것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이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체력입니다. 체력이 약하면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겪을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대학 연구팀은 40~69세 15만2978명을 대상으로 체력 수준과 우울, 불안 증상의
관계를 연구했습니다.연구팀은 대상자들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자전거 기구와 악력 테스트를 진행했스빈다.
이어 우울·불안 증상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고, 7년 후 이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번 더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연구 초기 체력 수준이 최하위인 그룹은 체력 수준이 최상위인 그룹보다 7년 후 우울증을 겪을 위험이
2배, 불안장애를 겪을 위험이 1.6배 컸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운동을 많이 할수록 체력이 강해지는데, 운동하면 뇌에 흘러 들어가는 혈류가 증가해 정신 건강이
향상되는 것과 관련 있다고 설명했다고 합니다. 연구를 진행한 조셉 헤이스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운동해서 체력을
기르면 몸이 건강할 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도 지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코로나19로 인해 외출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유산소 운동이나 근력 운동을 해서 체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운동이 가벼운 우울증 환자에게 약물이나 상담 치료와 비슷한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영국 왕립정신과협회는 가벼운 우울증을 앓던 945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운동과 약물 및 상담 치료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주 3회 60분간 유산소 운동을 한 그룸의 우울증 척도 점수가
22.2점에서 10.8점으로 낮아져, 약물 및 상담 치료 그룹이 20.8점에서 11.1점으로 낮아진 것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우울증 환자의 효과를 보려면 일주일에 3~5회, 한 번 에 45분 이상, 중등도 강도로 꾸준히 운동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요. 45분 이상 운동을 했냐 안했느냐에 따라 우울감 효과가 극명하게 갈린다고 합니다. 더불어 팔다리를 되도록
많이 움직이는 게 좋습니다. 그래야 세로토닌 분비량이 늘어난다고 합니다.
다만, 우울증이 진행돼 무기력증이 심한 사람들은 운동을 해야한다는 자체만으로도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때는 무리해서 운동을 하기보다 병원 진료를 먼저 받아볼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우울한 감정이 들거나 불안한 느낌을 느끼시는 분들은 체력을 키우고 조금이라도 무기력함에서 벗어날 수 있게끔
노력을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 운동을 하면 운동에 집중을 하게 되고 걱정이나 생각들을 덜 수 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3&sid2=241&oid=346&aid=0000047025
우울증 심한 사람… '이것' 키우세요
우울증, 불안장애로 고생하는 사람은 '체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체력이 약하면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겪을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대학 연구팀은 40~
news.naver.com
'핫토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호영 쉐프 우동집 합정 [우동카덴] (0) | 2021.12.29 |
---|---|
제주항공, 내년 항공권 반짝 세일 (0) | 2021.12.29 |
매드포갈릭, 겨울 맥주·막걸리 한정 출시 (0) | 2021.12.28 |
생활의 달인 국수맛집 김포 [뚝방국수] (0) | 2021.12.28 |
매일 맥주 한잔 등 술이 땡긴다면? 이것 의심해야 (0) | 2021.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