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돈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이 심상치 않습니다.
13년 만에 연 7%를 돌파한 시중은행의 주담대가 올해 내 연 8%에 다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실정입니다.
17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주택담보대출 상품인 '우리아파트론' 5년 고정형 기본금리는 연 5.45~7.15%를 기록하며
금리 상단이 7%를 넘어섰습니다.
전날 이 상품의 기본금리가 연 5.4~7.1%였던 것을 감안 시 하루만에 금리 상하단이 0.05%p 오른 것입니다.
개인돈
주담대 금리의 계속 상승 이유는 세계를 강타한 인플레이션에 대응코자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린 탓으로 보입니다.
지난16일 미국 중앙은행의 자이언트 스텝으로 15일 4.082%였던 금융채 5년물 금리도 4.116%로 폭등했습니다.
고정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주담대 변동금리도 오름세를 보입니다.
하나은행 주담대 변동형(신규 코픽스) 금리 상단은 이날 연 5.681%로 지난 16일(연 5.632%)보다 0.049% 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개인돈
은행연합회가 지난 15일 공시한 5월 코픽스에 따르면 전달보다 0.14%포인트 오른 1.98%를 기록한데 이어 금융채 금리가 오르면서 주담대 변동금리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주담대 고정금리는 지난 3월말 연 6%대로 올라섰는데 불과 두달반만에 7%대를 돌파했습니다.
하반기에도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만큼 올해 주담대 최고 금리는 8%대에 이를 것이란 우려도 나와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개인돈
일각에서는 '앞으로가 더 마누제'라고 봅니다.
미 fed의 자이언트 스텝에 따라 한국은행도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8,10,11월 역시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연말 기준금리는 2.75~3.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이 같은 현상은 시중은행 대출금리 인상을 부채질할 전망입니다.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예적금은 급증하는 반면 저원가성 예금의 경우 이탈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돈
시중은행은 저원가성 예금이 이탈할수록 은행채를 통한 자금조달 비중을 늘릴 수 밖에 없습니다.
이는 수신기능 없이 자금조달을 채권 발행에 의존하는 카드, 캐피털사 등 2금융권에도 자연스레 영향을 주게 됩니다.
결국 2금융권의 금리상승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금리가 너무도 높아져만 가고 DSR규제로 대출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인만큼
대출에 고민이신분들이 정말 많더라구요.
저희 머니히어로가 고객님에게 맞는 대출을 비교분석 후 찾아 진행해드립니다.
1:1 맞춤상담으로 빠르고 안전하게 대출 알아보시려면
카카오톡 링크로 문의주시기를 바랍니다 !
[카톡문의]
[참고자료]
'경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부터 보금자리론·적격대출 조기상환 수수료 0.3%p↓ (사업자일수) (0) | 2022.06.28 |
---|---|
케이뱅크, 아파트담보·전세대출 금리 최대 0.4%P 인하 (전지역일수) (0) | 2022.06.21 |
‘연봉 이내’ 신용대출 한도 새달 풀린다 (전지역일수) (0) | 2022.06.13 |
금융당국 "인터넷은행 대기업 대출 허용 불가" 재확인 (법인사업자일수) (0) | 2022.06.09 |
로또 청약 시대' 끝났나… 서울 브랜드 아파트인데 '42%' 계약 포기 (일수대출) (0) | 2022.06.02 |